본문
조선시대의 관제와 기능
조선시대 관제(官制)
조선시대 관제는 문관(文官), 동반(東班)과 무관(武官)ㆍ서반(西班)으로 나누어진다.
1) 문관(文官)ㆍ동반(東班)
가) 경직(京職)ㆍ내직(內職)
* 의정부(議政府) : 백관(百官)을 통솔하고 서정(庶政)을 총리하던 최고의 행정기관.
* 승정원(承政院) : 왕의 비서기관
* 승문원(承文院) : 외교문서를 담당한 관청.
* 홍문관(弘文館) : 궁중의 경서(經書)ㆍ사적(史籍)의 관리, 문한(文翰)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.
* 예문관(藝文館) : 칙령(勅令)과 교명(敎命)의 기록을 맡은 관청.
* 춘추관(春秋館) : 정사(政事) 기록(記錄)을 맡은 관청.
* 의금부(義禁府) : 사법기관
* 사헌부(司憲府) : 정사(政事)의 논주(論奏), 백관의 규찰(糾察), 풍속의 숙정(肅正)을 맡은 관청.
* 사간원(司諫院) : 왕명(王命)에 대한 간쟁(諫爭) 및 논박(論駁)을 맡은 관청
* 경 연(經 筵) : 왕이 문신과 함께 경사(經史)와 고금치란(古今治亂)에 관하여 연구토론하던 제도 또는 그 자리.
* 한성부(漢城府) : 수도(서울)를 관장하던 관청.
* 개성부(開城府) : 구도(舊都)를 관장하던 관청.
* 육조(六曹) : 이조, 호조, 예조, 병조, 형조, 공조의 6개 행정기관.
* 이조(吏曹) : 문관의 선임과 훈봉(勳封), 관원의 성적고사(成績考査) 및 포폄(褒貶)에 관한 업무를 맡아보던 행정 기관.
* 호조(戶曹) : 호구(戶口), 공부(貢賦), 전량(田糧), 금화(金貨)에 관한 업무를 맡아보던 행정기관.
* 예조(禮曹) : 예의, 제향, 조회, 교빙(交聘), 학교, 과학에 관한 업무를 맡아보던 행정기관.
* 병조(兵曹) : 무선(武選), 군무(軍務), 의위(儀衛), 편역(便驛), 병갑(兵甲), 기장(器 仗), 문호관약(門戶管鑰)에 관한 업무를 맡아 보던 행정기관.
* 형조(刑曹) : 법률, 소송, 형옥(刑獄), 노예(奴隸)에 관한 업무를 맡아 보던 행정기관.
* 공조(工曹) : 산택(山澤), 공장(工匠), 영선(營繕), 도야(陶冶)에 관한 업무를 맡아보던 행정기관.
나) 외직(外職)
* 감영(監營) : 각 도의 감사(監司:관찰사, 종2품)가 정무(政務)를 보던 관청.
* 부(府) : 감영 소속 지방행정관청 부(府), 대도호부(大都護府), 도호부부(都護府)를 말하며, 부윤(府尹, 종2품), 부사(府使, 3품이상)가 다스렸다.
* 목(牧) : 감영 소속 지방행정관청. 목사(牧使, 정3품))가 다스렸다.
* 군(郡) : 감영 소속 지방행정관청 군아(郡衙)의 약칭. 군수(종4품)가 다스렸다..
* 현(縣) : 감영소속 지방행정관청. 현령(종5품) 또는 현감(종6품)이 다스렸다.
* 영리(營吏) : 행정 실무에 종사하던 말단 육방(六房)을 말한다.
* 이방(吏房) : 인사(人事)․비서(書) 등의 사무를 관장.
* 호방(戶房) : 호구(戶口), 공부(貢賦), 전곡(田穀) 등을 관장.
* 예방(禮房) : 예악, 제사, 연향(宴享), 학교 등을 관장.
* 병방(兵房) : 군무(軍務), 우역(郵驛) 등을 관장.
* 형방(刑房) : 법률, 소송 등을 관장.
* 공방(工房) : 재식(栽植), 주차(舟車), 공장(工匠), 영선(營繕) 등을 관장.
2) 무관(武官)ㆍ서반(西班)
가) 경직(京職)
* 중추부(中樞府) : 문무(文武) 당상관으로서 임직(任職)이 없는 자를 일정한 사무를 맡기지 않고 우대하는 곳.
* 오위도총부(五衛都摠府) : 조선시대의 중앙군인 다음의 오위(五衛)를 지휘 감독한 최고 군령기관(最高軍令機關). 도총관(정2품)이 지휘하였다.
* 중위(中衛) : 의흥위(義興衛), 중부(中部)에 있다.
* 좌위(左衛) : 용양위(龍驤衛), 동부(東部)에 있다.
* 우위(右衛) : 호분위(虎賁衛), 서부(西部)에 있다.
* 전위(前衛) : 충좌위(忠佐衛), 남부(南部)에 있다.
* 후위(後衛) : 충무위(忠武衛), 북부(北部)에 있다.
* 훈련원(訓練院) : 병사의 무재(武才)시험, 무예의 연습, 병서(兵書)의 강습을 맡아보던 관청. 지사(정2품)가 지휘하였다.
나) 외직(外職)
* 병영(兵營) : 각 도에 주둔한 병마절도사(종2품)가 주재하던 영(營).
병마첨절제사(兵馬僉節制使, 종3품), 병마우후(兵馬虞侯, 종3품), 병마동첨절제사(兵馬同僉節制使, 종4품), 병마만호(兵馬萬戶, 종4품), 병마절제도위(兵馬節蹄尉, 종6품) 등을 지휘하였다. 병사(兵舍)를 병영이라고도 하였다.
* 수영(水營) : 수군절도사(水軍節度使, 종2품)가 주재하던 영(營). 수군첨절제사(水軍僉節制使:종3품), 수군동첨절제사(水軍同僉節制使:종4품), 수군만호(水軍萬戶:종4품) 등을 지휘하였다.
* 주진(主鎭) : 절도사(節度使:종2품)가 주재하는 병사(兵舍).
* 거진(巨鎭) : 절제사(節制使:정3품)․첨절제사(僉節制使:종3품)가 주재하는 병사(兵舍).
* 진(諸鎭) : 동첨절제사(同僉節制使:종4품)․만호(萬戶:종4품)․병마절제도위(兵馬節蹄尉:종6품)가 주재하는 병사(兵舍).